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2025 긴급복지 지원사업 총정리 – 생계·주거·의료 위기, 이렇게 돕습니다

by 사업단장 출신이 말하는 정책이야기 2025. 7. 14.
반응형

2025 긴급복지 지원사업 총정리 – 생계·주거·의료 위기, 이렇게 돕습니다
2025 긴급복지 지원사업 총정리 – 생계·주거·의료 위기, 이렇게 돕습니다

2025년에도 실직, 중병, 이혼, 화재 등으로 갑자기 생계가 어려워진 가구를 돕기 위한
‘긴급복지 지원제도’가 계속됩니다.

 

 

정부는 3개월간 긴급생계비와 의료비, 전기요금, 주거비 등을 조건에 맞는 국민에게 신속하게 지원합니다.


1. 긴급복지 지원제도란?

생계가 어렵다면? 국가에 SOS 긴급복지지원 -돈이 보이는 정책-
생계가 어렵다면? 국가에 SOS 긴급복지지원 -돈이 보이는 정책-
지원대상
지원대상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으로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에게 최대 6개월간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등을 정부가 ‘선지원 후조사’ 방식으로긴급하게 지원하는 복지 제도입니다.

  • 운영기관: 보건복지부, 지자체, 읍면동 주민센터
  • 법적근거: 「긴급복지지원법」에 의거
  • 지원방식: 1개월치 먼저 지급 후, 사후조사 → 연장 가능

2. 어떤 상황일 때 받을 수 있나요?

선정기준
선정기준
인정 사유 설명
주소득자 사망, 가출, 구금 소득 상실로 생계 곤란
중한 질병 또는 부상 입원 치료 등
방임, 유기, 학대 아동·노인 등 가족폭력 포함
가정폭력 또는 성폭력 보호시설 입소 등 필요
화재, 자연재해 주택 소실 등 긴급 상황
폐업, 실직 자영업자 휴업·폐업 또는 근로자 실직
이혼, 단전, 출소 등 소득 급감·주거 곤란 발생 시 포함

※ 해당 사유는 모두 현장 조사 또는 증빙자료로 확인 가능해야 함

보건복지 상담센터 바로가기


3. 지원 내용은 얼마나 되나요?

지원항목 지원금액(월 기준)
생계지원 1730,500~
6
2,485,400원 정액 지급
의료지원 입원비·진료비
최대
300만 원 이내
주거지원 1~6인 가구 기준 240,000 ~
650,000
원 지급
사회복지시설 이용 1552,000원부터 시작,
인원수에 따라 증액
교육비 초등: 127,900/
중등: 180,000/
고등: 214,000+ 수업료·입학금
연료비 동절기(10~3) 150,000
전기요금 체납 고지서 제출 시
최대
500,000
해산비·장제비 해산 700,000/
장제 800,000원 이내

4. 소득·재산 기준은?

소득 재산 기준
소득 재산 기준
구분 기준 내용
소득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4인 가구 기준 월 4,297,434원 이하)
재산 - 대도시 24,100만 원 이하
- 중소도시
15,200만 원 이하
- 농어촌
13,000만 원 이하
금융재산 - 4인 기준 12,097,000원 이하
- 주거지원 시
14,097,000원 이하

5. 신청 방법과 절차

복지 위기 알림 앱
복지 위기 알림 앱

① 어디서 신청하나요?

  • 주민등록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시군구 긴급복지담당부서

② 신청서류는?

  • 신분증, 위기상황 증빙서류(사망진단서, 퇴직확인서 등), 통장 사본

③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1. 신청서 접수 →
  2. 1회차 생계비 선지원 →
  3. 사후조사(소득·재산·위기사유) →
  4. 적정성 판단 후 2·3회차 지급 또는 연장

긴급지원심의위원회 심의로 3개월 추가 연장도 가능

복지로 바로가기


6. 주의할 점

  • 같은 위기사유로 1년 이내 재신청 불가 (단 생계지원은 1년 후 재신청 가능)
  • 사후조사에서 허위자료가 발견되면 지원금 환수 조치
  • 복지급여 중복 수령 시 일부 항목은 긴급복지 지원 제외 가능

조건만 맞으면 꼭 신청하세요

생계에 위기가 닥쳤다면 혼자 버티지 마세요.정부는 단 1회의 심사로 3개월 간 지원하고,필요하면 6개월까지 연장도 가능합니다. “몰라서 못 받는 일 없도록, 지금 바로 주민센터에서 확인하세요.”

[6.26.수.석간]복지+위기+알림+앱+전국+시행.pdf
0.75MB
★2025 긴급복지 지원사업 안내(최종).pdf
14.41MB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왜 아무 데서나 못 쓰나? 사용처 제한 진짜 이유

"쿠폰 받았는데 못 쓰는 곳이 더 많다?" 2025년 7월 21일부터 시작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전 국민을 대상으로 최대 55만 원까지 지원되는 이번 소비쿠폰은 분명히 반가운 소식입니다.하지

story8259.tistory.com

 

 

폭염 속 전기요금 줄이는 방법 – 실내 온도는 낮추고, 비용은 아끼는 여름 생존 전략

올여름 폭염은 단순한 더위가 아니라 건강과 지갑을 위협하는 생존 이슈입니다. 전국적으로 폭염경보가 이어지는 가운데, 무작정 에어컨만 틀었다가는 전기요금 폭탄을 맞기 십상인데요. 현명

story8259.tistory.com

 

 

2025 아동수당 전면 확대!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지급

2025년부터 아동수당 제도가 완전히 바뀝니다. 기존에는 만 8세 미만까지만 받을 수 있었던 아동수당이, 이제는 만 10세 미만까지 확대되며매년 2세씩 늘어나 2029년에는 고등학생까지 지급될 예정

story8259.tistory.com

 

반응형